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진천천
  • 상화로 도시전경
  • 상화기념관·이장가문화관
  • 상화로 8차선 도로
  • 대구 수목원
역사·문화
콘텐츠로 꽃피는 상화로
상화로 테마기행

상화로 관련 기록들을 테마로 엮어 주제별로 둘러보세요.

팔곡철공소와 부활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상인동 252번지 일대(상인동 홈플러스 맞은편) 3,300평에는 팔곡철공주식회사, 일명 ‘하찌 야’라 불리던 비행기 부품 생산업체가 있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징병·징용 및 공출 등 전시 비 상체제를 가동하면서 가미카제 특공대의 소 비행기를 제작할 목적으로 기계공업이 발달해 있던 대구 북성로에서 철 공소를 찾았고, 이를 월배면으로 옮겨 비행기 부품을 만들었다 합니다. 초기에는 남자 100명, 여자 30명, 소학교를 졸업한 12∼20세의 청소년을 선발하여 3개월간 기계공원 양성교육을 시 키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장 근무 후 교양실에서 각종 기술교육과 수양[도덕], 강화[말하기] 등을 가르쳤습 니다. 임금은 13세 이하의 경우 0.31∼0.48엔, 19세 이상의 경우 1.08엔으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공장동 2개와 기숙사 3개 동이 있었는데, 현재 기숙사동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공장 부지는 2년제 기술학교와 항공대학, 경상공 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부활호는 1953년 6월 공군이 주도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군용기로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전쟁으 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부활시켜라’라는 의미로 지어 붙인 것입니다.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다목적 항공기로 단 1대 만 만들어져 운용되다가 1960년 김해기지에서 폐기하려던 것을 상인동의 ‘한국항공대학’에서 기증받아 제작 실습용 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66년 항공대학 폐교 후 사람들 기억에서 잊혔던 부활호는 2004년 경상공업고등학교 제도실 건물 지하창고에서 뼈 대와 프로펠러를 발견, 복원 작업을 거쳐 2011년 6월 추가로 2기가 제작되어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습니다. 복원된 ‘부 활호’는 현재 공군사관학교에 있으며, 경상공고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 구국운동 명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들 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상인동 일대에서도 1919년 3.1만세 운동을 전후하여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한국유림파리장서사건’과 ‘조선 국권회복단’의 항일 독립운동이다. ‘조선국권회복단’은 구한말 애국지사였던 향산 윤상 태 선생이 1915년 조직한 비밀결사체이다. 송석헌은 윤상태 선생이 후진교육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독립 운동가들의 밀회 장소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 서비’는 조선의 독립을 탄원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구 국운동에 앞장선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전국 유림 137명이 조선의 독립을 탄원 하는 문서에 서명하여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평화회 의에 제출했다. 이때 지역에서 서명한 이가 7명이나 되었으며, 관련자는 옥사하거나 망명했다. 5명이 서 명한 월촌은 일경의 만행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한다. 항일운동에 앞장선 학생들을 기념하는 유적도 있다. 바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이다. 일제강점기 에 우리나라 독립을 외친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 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된 태극단은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일제에 당 당히 맞섰다. 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항거의 칼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뜻은 오직 조 국의 독립에 있었고, 길은 다만 죽음을 각오할 따름이 었다. … 고구려의 맥박이 이곳에 뛰고, 신라의 목소 리가 여기서 울린다. 태극단 그 이름 길이길이 이 땅 에서 푸르리라.“

시인의 길, 상화로
이야기 꽃
이 피다.

2020년 상화로는 진천천 물길을 품었습니다.
상화로 8차선 도로 아래 여전히 물길은 유유히 흐르고,
그 양 옆으로는 대곡동, 도원동, 상인동, 진천동 네 개 동네가 접해 있습니다.

수많은 이야기를 간직한 각양각색 동네들이 전통과 역사를 지키고 보존하며,
혹은 새로운 문화를 아우르고 수용하며 저마다 도시 이야기를 꽃 피우고 있습니다.

2025.04.23  Wed. Archive
오늘의 상화로 아카이브
장소

높이 20m, 가슴둘레높이 3. 4m, 수관 직경 22m로써 수령은 500년 정도로 수간이 3가지로 되어 있었으나 중간 가지는 고사枯死되었다. 봄에 잎이 동시에 피게 되면 모내기가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하며, 나무가 밤중에 소리 내어 울면 동네가 편하지 못하다고 전해오고 있다. 지금도 이 나무에는 해마다 음력 정월보름이면 동제를 지내고 있다. 동제 전후로 나무 주위에 금줄을 쳐 놓아 신성시하고 있으며, '당산신위비堂山神位碑'라는 표지석이 나무 바로 앞에 있다.

유물

상여집은 상례에 필요한 상여와 각종 물품을 보관하던 곳으로 원래 마을 위쪽에 있었으나 약 250년 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이곳에는 16명과 32명이 메야 하는 나무로 만든 두 가지 종류의 상여가 있었으나 아쉽게도 근래에 들어 장례문화가 변화하면서 없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현재도‘숲밭회’라는 모임을 조직하여 정월 대보름에 회의를 하는 등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 상여집은 대구광역시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는 예가 드물어 2016년 달서구청에서 새롭게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장소

고령김씨의 위선 재실이다. 1943년에 김용 하가 집안의 젊은 사람들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 주기 위하여 서당으로 지었으나 세월 이 지나면서 재실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