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진천천
  • 상화로 도시전경
  • 상화기념관·이장가문화관
  • 상화로 8차선 도로
  • 대구 수목원
역사·문화
콘텐츠로 꽃피는 상화로
상화로 테마기행

상화로 관련 기록들을 테마로 엮어 주제별로 둘러보세요.

팔곡철공소와 부활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상인동 252번지 일대(상인동 홈플러스 맞은편) 3,300평에는 팔곡철공주식회사, 일명 ‘하찌 야’라 불리던 비행기 부품 생산업체가 있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징병·징용 및 공출 등 전시 비 상체제를 가동하면서 가미카제 특공대의 소 비행기를 제작할 목적으로 기계공업이 발달해 있던 대구 북성로에서 철 공소를 찾았고, 이를 월배면으로 옮겨 비행기 부품을 만들었다 합니다. 초기에는 남자 100명, 여자 30명, 소학교를 졸업한 12∼20세의 청소년을 선발하여 3개월간 기계공원 양성교육을 시 키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장 근무 후 교양실에서 각종 기술교육과 수양[도덕], 강화[말하기] 등을 가르쳤습 니다. 임금은 13세 이하의 경우 0.31∼0.48엔, 19세 이상의 경우 1.08엔으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공장동 2개와 기숙사 3개 동이 있었는데, 현재 기숙사동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공장 부지는 2년제 기술학교와 항공대학, 경상공 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부활호는 1953년 6월 공군이 주도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군용기로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전쟁으 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부활시켜라’라는 의미로 지어 붙인 것입니다.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다목적 항공기로 단 1대 만 만들어져 운용되다가 1960년 김해기지에서 폐기하려던 것을 상인동의 ‘한국항공대학’에서 기증받아 제작 실습용 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66년 항공대학 폐교 후 사람들 기억에서 잊혔던 부활호는 2004년 경상공업고등학교 제도실 건물 지하창고에서 뼈 대와 프로펠러를 발견, 복원 작업을 거쳐 2011년 6월 추가로 2기가 제작되어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습니다. 복원된 ‘부 활호’는 현재 공군사관학교에 있으며, 경상공고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 구국운동 명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들 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상인동 일대에서도 1919년 3.1만세 운동을 전후하여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한국유림파리장서사건’과 ‘조선 국권회복단’의 항일 독립운동이다. ‘조선국권회복단’은 구한말 애국지사였던 향산 윤상 태 선생이 1915년 조직한 비밀결사체이다. 송석헌은 윤상태 선생이 후진교육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독립 운동가들의 밀회 장소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 서비’는 조선의 독립을 탄원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구 국운동에 앞장선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전국 유림 137명이 조선의 독립을 탄원 하는 문서에 서명하여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평화회 의에 제출했다. 이때 지역에서 서명한 이가 7명이나 되었으며, 관련자는 옥사하거나 망명했다. 5명이 서 명한 월촌은 일경의 만행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한다. 항일운동에 앞장선 학생들을 기념하는 유적도 있다. 바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이다. 일제강점기 에 우리나라 독립을 외친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 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된 태극단은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일제에 당 당히 맞섰다. 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항거의 칼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뜻은 오직 조 국의 독립에 있었고, 길은 다만 죽음을 각오할 따름이 었다. … 고구려의 맥박이 이곳에 뛰고, 신라의 목소 리가 여기서 울린다. 태극단 그 이름 길이길이 이 땅 에서 푸르리라.“

시인의 길, 상화로
이야기 꽃
이 피다.

2020년 상화로는 진천천 물길을 품었습니다.
상화로 8차선 도로 아래 여전히 물길은 유유히 흐르고,
그 양 옆으로는 대곡동, 도원동, 상인동, 진천동 네 개 동네가 접해 있습니다.

수많은 이야기를 간직한 각양각색 동네들이 전통과 역사를 지키고 보존하며,
혹은 새로운 문화를 아우르고 수용하며 저마다 도시 이야기를 꽃 피우고 있습니다.

2024.11.07  Thu. Archive
오늘의 상화로 아카이브
장소

밀양박씨 도원동 입향조, 참봉 박민호를 추모하기 위해 1983년에 세운 건물이다. 임란당시 선생은 이곳에 산성을 쌓고 왜적을 방어하여 향민의 칭찬을 받았다 한다. 소재지: 달서구 도원동 1068번지 소유자: 밀양박씨 문중 내 용: 입향조인 참봉參奉 박민호朴敏豪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만력 연간에 큰 난리가 일어날 것을 미리 알고 처자를 데리고 이곳으로 들어와 세거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하여 이곳에 산성을 쌓고 적을 방어하였다한다. 난에 참여한 공으로 병조참의에 추증되었다. 1983년에 지어 종당宗堂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의 후손들은 입향조로부터 13~14세손들로 박민호의 손자 대에서 세개의 분파로 나뉘어 전국에 450여 가구가 산재해 있다. 이와는 다른 분파로 대곡동에는 증호조참판贈戶曹參判 임은공林隱公 박세기朴世箕를 입향조로 하는 밀양박씨들이 세거하고 있다. 역시 임진왜란을 피하여 청주로부터 이거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전국에 약

장소

민족시인 이상화를 비롯하여 독립 운동 및 계몽 운동 등 대구 근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경주이 씨(월성 이씨) 논복공파 일가인 ‘이장가’를 알리는 기념관이다. 전시관은 2층으로 되어 있으며, 구한 말과 일제강점기 때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이장가의 주요 인물 자료와 유품 등이 300여 점 전 시되어 있다. 대한독립군으로 중국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했던 이상정 장군, 우리나라 최초의 IOC 위원인 이상백 박사, 대한수렵협회 회장이자 저술가로 활 동한 이상오 선생 등 이상화 시인과 함께 ‘용봉인학’으로 불리는 4형제의 사진과 자료뿐만 아니라 4형제의 백부이자 이장가 종손으로 구한말 민족 계몽운동에 앞장섰던 이일우 선생의 필기도구, 서적, 공책 등도 살펴볼 수 있다. 또, 이장가 일가의 미공개 사진 50여 점과 이장가의 가보인 ‘이장록’, ‘우현서루 편 액’, 그리고 이상정 장군의 딸인 선희 여사가 시집갈 때 상화 선생이 직접 본문 뜻을 풀이해서 선물했다

장소

진천역과 그 일대, 선사유적공원 가는 길 곳 곳에 선사시대를 상징하는 대형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고, 벽화가 그려져 있다. 2만 년 의 역사가 잠들어 있는 곳, 달서구를 표현한 이색 박물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