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진천천
  • 상화로 도시전경
  • 상화기념관·이장가문화관
  • 상화로 8차선 도로
  • 대구 수목원
역사·문화
콘텐츠로 꽃피는 상화로
상화로 테마기행

상화로 관련 기록들을 테마로 엮어 주제별로 둘러보세요.

팔곡철공소와 부활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상인동 252번지 일대(상인동 홈플러스 맞은편) 3,300평에는 팔곡철공주식회사, 일명 ‘하찌 야’라 불리던 비행기 부품 생산업체가 있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징병·징용 및 공출 등 전시 비 상체제를 가동하면서 가미카제 특공대의 소 비행기를 제작할 목적으로 기계공업이 발달해 있던 대구 북성로에서 철 공소를 찾았고, 이를 월배면으로 옮겨 비행기 부품을 만들었다 합니다. 초기에는 남자 100명, 여자 30명, 소학교를 졸업한 12∼20세의 청소년을 선발하여 3개월간 기계공원 양성교육을 시 키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장 근무 후 교양실에서 각종 기술교육과 수양[도덕], 강화[말하기] 등을 가르쳤습 니다. 임금은 13세 이하의 경우 0.31∼0.48엔, 19세 이상의 경우 1.08엔으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공장동 2개와 기숙사 3개 동이 있었는데, 현재 기숙사동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공장 부지는 2년제 기술학교와 항공대학, 경상공 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부활호는 1953년 6월 공군이 주도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군용기로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전쟁으 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부활시켜라’라는 의미로 지어 붙인 것입니다.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다목적 항공기로 단 1대 만 만들어져 운용되다가 1960년 김해기지에서 폐기하려던 것을 상인동의 ‘한국항공대학’에서 기증받아 제작 실습용 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66년 항공대학 폐교 후 사람들 기억에서 잊혔던 부활호는 2004년 경상공업고등학교 제도실 건물 지하창고에서 뼈 대와 프로펠러를 발견, 복원 작업을 거쳐 2011년 6월 추가로 2기가 제작되어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습니다. 복원된 ‘부 활호’는 현재 공군사관학교에 있으며, 경상공고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 구국운동 명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들 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상인동 일대에서도 1919년 3.1만세 운동을 전후하여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한국유림파리장서사건’과 ‘조선 국권회복단’의 항일 독립운동이다. ‘조선국권회복단’은 구한말 애국지사였던 향산 윤상 태 선생이 1915년 조직한 비밀결사체이다. 송석헌은 윤상태 선생이 후진교육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독립 운동가들의 밀회 장소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 서비’는 조선의 독립을 탄원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구 국운동에 앞장선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전국 유림 137명이 조선의 독립을 탄원 하는 문서에 서명하여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평화회 의에 제출했다. 이때 지역에서 서명한 이가 7명이나 되었으며, 관련자는 옥사하거나 망명했다. 5명이 서 명한 월촌은 일경의 만행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한다. 항일운동에 앞장선 학생들을 기념하는 유적도 있다. 바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이다. 일제강점기 에 우리나라 독립을 외친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 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된 태극단은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일제에 당 당히 맞섰다. 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항거의 칼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뜻은 오직 조 국의 독립에 있었고, 길은 다만 죽음을 각오할 따름이 었다. … 고구려의 맥박이 이곳에 뛰고, 신라의 목소 리가 여기서 울린다. 태극단 그 이름 길이길이 이 땅 에서 푸르리라.“

시인의 길, 상화로
이야기 꽃
이 피다.

2020년 상화로는 진천천 물길을 품었습니다.
상화로 8차선 도로 아래 여전히 물길은 유유히 흐르고,
그 양 옆으로는 대곡동, 도원동, 상인동, 진천동 네 개 동네가 접해 있습니다.

수많은 이야기를 간직한 각양각색 동네들이 전통과 역사를 지키고 보존하며,
혹은 새로운 문화를 아우르고 수용하며 저마다 도시 이야기를 꽃 피우고 있습니다.

2025.06.17  Tue. Archive
오늘의 상화로 아카이브
장소

한실 북쪽에 있었던 들. 대곡동 중심에 있었던 들 전체를 말한다. 유정승이 조정으로부터 하 사 받은 들이라 하여 ‘유가(儒家)의 들’이란 뜻 에서 ‘유가들, 유개들’이라 불렀다.

유물

소봉小峯 우종식禹鍾殖은 1913년 부 우갑기禹甲基와 모 능성구씨綾城具氏 사이에서 태어나, 1926년 사립 덕산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동경 와세다대학 상과를 마친 후 한일산업회사와 대구무진회사, 남산양조사 등의 사장을 거쳐 고려예식장을 설립 · 경영하고, 낙동서원을 세웠으며, 대구상공회의소 부회장과 담수회의 부회장을 거쳐 대구향교재단이사장大邱鄕校財團理事長, 성균관부관장成均館副館長을 역임했다. 1992년 후손들과 유림에서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월곡역사공원 내에 비각과 공적비를 세웠다.

장소

선광부업조합은 완초 슬리퍼를 제작 · 판매 하였고, 조합 사무소가 성당동에 위치하여 인근 농촌마을에서 제작하는 완초 슬리퍼를 수집하여 해외로 수출하는 일을 하였다. 작업 재료는 경상북도의 김천 등지를 비롯하여 전라남도 장성과 정읍 등으로부터 사입 하였으며, 조합이 직영한 공장에서의 기계작업과 인근 마을 사람들의 손에 의한 작업으로 제품을 생산하였다. 초대 조합장에 대구부 달서면 성당동에 거주하던 서만달이, 이사에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에 살던 우종기가 선임되어 조합을 이끌었다. 1940년대 초까지 많은 제품을 생산 · 판매하였으나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일본이 중 · 일 전쟁을 일으키고, 2차 대전에 참전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면서 조합단위로는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1940년 초 조합을 해산하고 선광수출공예주식회사로 넘겼다. 완초 슬리퍼 생산은 그 후로도 이어져 오다 달성군 월배면 월암동에서는 1974년부터 농한기를 이용하여 완초 슬리퍼를 만들어 150여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