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진천천
역사·문화
콘텐츠로 꽃피는 상화로
상화로 테마기행

상화로 관련 기록들을 테마로 엮어 주제별로 둘러보세요.

팔곡철공소와 부활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상인동 252번지 일대(상인동 홈플러스 맞은편) 3,300평에는 팔곡철공주식회사, 일명 ‘하찌 야’라 불리던 비행기 부품 생산업체가 있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징병·징용 및 공출 등 전시 비 상체제를 가동하면서 가미카제 특공대의 소 비행기를 제작할 목적으로 기계공업이 발달해 있던 대구 북성로에서 철 공소를 찾았고, 이를 월배면으로 옮겨 비행기 부품을 만들었다 합니다. 초기에는 남자 100명, 여자 30명, 소학교를 졸업한 12∼20세의 청소년을 선발하여 3개월간 기계공원 양성교육을 시 키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장 근무 후 교양실에서 각종 기술교육과 수양[도덕], 강화[말하기] 등을 가르쳤습 니다. 임금은 13세 이하의 경우 0.31∼0.48엔, 19세 이상의 경우 1.08엔으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공장동 2개와 기숙사 3개 동이 있었는데, 현재 기숙사동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공장 부지는 2년제 기술학교와 항공대학, 경상공 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부활호는 1953년 6월 공군이 주도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군용기로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전쟁으 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부활시켜라’라는 의미로 지어 붙인 것입니다.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다목적 항공기로 단 1대 만 만들어져 운용되다가 1960년 김해기지에서 폐기하려던 것을 상인동의 ‘한국항공대학’에서 기증받아 제작 실습용 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66년 항공대학 폐교 후 사람들 기억에서 잊혔던 부활호는 2004년 경상공업고등학교 제도실 건물 지하창고에서 뼈 대와 프로펠러를 발견, 복원 작업을 거쳐 2011년 6월 추가로 2기가 제작되어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습니다. 복원된 ‘부 활호’는 현재 공군사관학교에 있으며, 경상공고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 구국운동 명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들 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상인동 일대에서도 1919년 3.1만세 운동을 전후하여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한국유림파리장서사건’과 ‘조선 국권회복단’의 항일 독립운동이다. ‘조선국권회복단’은 구한말 애국지사였던 향산 윤상 태 선생이 1915년 조직한 비밀결사체이다. 송석헌은 윤상태 선생이 후진교육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독립 운동가들의 밀회 장소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 서비’는 조선의 독립을 탄원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구 국운동에 앞장선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전국 유림 137명이 조선의 독립을 탄원 하는 문서에 서명하여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평화회 의에 제출했다. 이때 지역에서 서명한 이가 7명이나 되었으며, 관련자는 옥사하거나 망명했다. 5명이 서 명한 월촌은 일경의 만행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한다. 항일운동에 앞장선 학생들을 기념하는 유적도 있다. 바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이다. 일제강점기 에 우리나라 독립을 외친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 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된 태극단은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일제에 당 당히 맞섰다. 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항거의 칼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뜻은 오직 조 국의 독립에 있었고, 길은 다만 죽음을 각오할 따름이 었다. … 고구려의 맥박이 이곳에 뛰고, 신라의 목소 리가 여기서 울린다. 태극단 그 이름 길이길이 이 땅 에서 푸르리라.“

팔곡철공소와 부활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상인동 252번지 일대(상인동 홈플러스 맞은편) 3,300평에는 팔곡철공주식회사, 일명 ‘하찌 야’라 불리던 비행기 부품 생산업체가 있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징병·징용 및 공출 등 전시 비 상체제를 가동하면서 가미카제 특공대의 소 비행기를 제작할 목적으로 기계공업이 발달해 있던 대구 북성로에서 철 공소를 찾았고, 이를 월배면으로 옮겨 비행기 부품을 만들었다 합니다. 초기에는 남자 100명, 여자 30명, 소학교를 졸업한 12∼20세의 청소년을 선발하여 3개월간 기계공원 양성교육을 시 키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장 근무 후 교양실에서 각종 기술교육과 수양[도덕], 강화[말하기] 등을 가르쳤습 니다. 임금은 13세 이하의 경우 0.31∼0.48엔, 19세 이상의 경우 1.08엔으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공장동 2개와 기숙사 3개 동이 있었는데, 현재 기숙사동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공장 부지는 2년제 기술학교와 항공대학, 경상공 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부활호는 1953년 6월 공군이 주도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군용기로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전쟁으 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부활시켜라’라는 의미로 지어 붙인 것입니다.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다목적 항공기로 단 1대 만 만들어져 운용되다가 1960년 김해기지에서 폐기하려던 것을 상인동의 ‘한국항공대학’에서 기증받아 제작 실습용 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66년 항공대학 폐교 후 사람들 기억에서 잊혔던 부활호는 2004년 경상공업고등학교 제도실 건물 지하창고에서 뼈 대와 프로펠러를 발견, 복원 작업을 거쳐 2011년 6월 추가로 2기가 제작되어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습니다. 복원된 ‘부 활호’는 현재 공군사관학교에 있으며, 경상공고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 구국운동 명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들 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상인동 일대에서도 1919년 3.1만세 운동을 전후하여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한국유림파리장서사건’과 ‘조선 국권회복단’의 항일 독립운동이다. ‘조선국권회복단’은 구한말 애국지사였던 향산 윤상 태 선생이 1915년 조직한 비밀결사체이다. 송석헌은 윤상태 선생이 후진교육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독립 운동가들의 밀회 장소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 서비’는 조선의 독립을 탄원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구 국운동에 앞장선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전국 유림 137명이 조선의 독립을 탄원 하는 문서에 서명하여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평화회 의에 제출했다. 이때 지역에서 서명한 이가 7명이나 되었으며, 관련자는 옥사하거나 망명했다. 5명이 서 명한 월촌은 일경의 만행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한다. 항일운동에 앞장선 학생들을 기념하는 유적도 있다. 바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이다. 일제강점기 에 우리나라 독립을 외친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 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된 태극단은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일제에 당 당히 맞섰다. 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항거의 칼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뜻은 오직 조 국의 독립에 있었고, 길은 다만 죽음을 각오할 따름이 었다. … 고구려의 맥박이 이곳에 뛰고, 신라의 목소 리가 여기서 울린다. 태극단 그 이름 길이길이 이 땅 에서 푸르리라.“

팔곡철공소와 부활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상인동 252번지 일대(상인동 홈플러스 맞은편) 3,300평에는 팔곡철공주식회사, 일명 ‘하찌 야’라 불리던 비행기 부품 생산업체가 있었습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제가 징병·징용 및 공출 등 전시 비 상체제를 가동하면서 가미카제 특공대의 소 비행기를 제작할 목적으로 기계공업이 발달해 있던 대구 북성로에서 철 공소를 찾았고, 이를 월배면으로 옮겨 비행기 부품을 만들었다 합니다. 초기에는 남자 100명, 여자 30명, 소학교를 졸업한 12∼20세의 청소년을 선발하여 3개월간 기계공원 양성교육을 시 키고,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공장 근무 후 교양실에서 각종 기술교육과 수양[도덕], 강화[말하기] 등을 가르쳤습 니다. 임금은 13세 이하의 경우 0.31∼0.48엔, 19세 이상의 경우 1.08엔으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공장동 2개와 기숙사 3개 동이 있었는데, 현재 기숙사동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공장 부지는 2년제 기술학교와 항공대학, 경상공 업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습니다. 부활호는 1953년 6월 공군이 주도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의 군용기로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전쟁으 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부활시켜라’라는 의미로 지어 붙인 것입니다.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다목적 항공기로 단 1대 만 만들어져 운용되다가 1960년 김해기지에서 폐기하려던 것을 상인동의 ‘한국항공대학’에서 기증받아 제작 실습용 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66년 항공대학 폐교 후 사람들 기억에서 잊혔던 부활호는 2004년 경상공업고등학교 제도실 건물 지하창고에서 뼈 대와 프로펠러를 발견, 복원 작업을 거쳐 2011년 6월 추가로 2기가 제작되어 시험비행을 완료하였습니다. 복원된 ‘부 활호’는 현재 공군사관학교에 있으며, 경상공고에는 그 모형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항일 독립운동, 구국운동 명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활동들 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상인동 일대에서도 1919년 3.1만세 운동을 전후하여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한국유림파리장서사건’과 ‘조선 국권회복단’의 항일 독립운동이다. ‘조선국권회복단’은 구한말 애국지사였던 향산 윤상 태 선생이 1915년 조직한 비밀결사체이다. 송석헌은 윤상태 선생이 후진교육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독립 운동가들의 밀회 장소로도 이용되었다고 한다. 월곡역사공원 안에 있는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 서비’는 조선의 독립을 탄원하는 문서에 서명하며 구 국운동에 앞장선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전국 유림 137명이 조선의 독립을 탄원 하는 문서에 서명하여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평화회 의에 제출했다. 이때 지역에서 서명한 이가 7명이나 되었으며, 관련자는 옥사하거나 망명했다. 5명이 서 명한 월촌은 일경의 만행으로 쑥대밭이 되었다 한다. 항일운동에 앞장선 학생들을 기념하는 유적도 있다. 바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이다. 일제강점기 에 우리나라 독립을 외친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 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구공립상업학교 재학생이 중심이 된 태극단은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일제에 당 당히 맞섰다. 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이 적혀 있다. “… 왜적의 모진 손톱이 겨레의 숨결마저 끊으려 할 즈음 항거의 칼을 잡고 일어선 봉오리… 뜻은 오직 조 국의 독립에 있었고, 길은 다만 죽음을 각오할 따름이 었다. … 고구려의 맥박이 이곳에 뛰고, 신라의 목소 리가 여기서 울린다. 태극단 그 이름 길이길이 이 땅 에서 푸르리라.“

시인의 길, 상화로
이야기 꽃
이 피다.

2020년 상화로는 진천천 물길을 품었습니다.
상화로 8차선 도로 아래 여전히 물길은 유유히 흐르고,
그 양 옆으로는 대곡동, 도원동, 상인동, 진천동 네 개 동네가 접해 있습니다.

수많은 이야기를 간직한 각양각색 동네들이 전통과 역사를 지키고 보존하며,
혹은 새로운 문화를 아우르고 수용하며 저마다 도시 이야기를 꽃 피우고 있습니다.

2025.05.19  Mon. Archive
오늘의 상화로 아카이브
유물

단양우씨 월배지역 입향조인 우전禹奠의 6세손 통훈대부행정의현감通訓大夫行旌義縣監 우여도禹汝度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1869년에 건립하였으며, 경도재景陶齋 우성규禹成圭가 상량문을 지었다. 그 뒤 월곡공원을 조성할 무렵인 1979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다. 200여 평 대지 위에 정침이 방 3칸, 대청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와즙으로 화강석 축대 위에 세웠다. 내부에 이건기移建記와 상량문上樑文, 추모재학규 追慕齋學規가 있다. 추모재한거십영追慕齋閑居十詠 1점과 추모재연당운追慕齋蓮堂韻을 빌려서 지은 시 1점이 걸려 있다. 그 외에도 통훈대부와 정의현감으로 임명한다는 교지를 복사하여 걸어둔 액자와 ‘충신忠信’이란 유훈과 ‘숭조경종친척돈목근검성실인보상조崇祖敬宗親戚敦睦勤儉誠實隣保相助’란 글귀를 적은 액자 3점이 실내에 걸려 있다. 주련에 보면 역사정소귀주임천力辭廷召歸住林泉 조정의 부름을 힘써 사양하고 고향산천으로 돌아와 머무셨네. 명고덕전성조상련名高德全星照相連 명성은 높

장소

월곡역사박물관에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운 월곡 우배선 선생과 관련된 보물 제1334호인 화원 우배선 의병군공책(花園 禹拜善 義兵軍功冊) 및 관련자료 4종 15점 34건 외에 역대 선조들의 교지(敎旨)등 400여점과 고서적 7천여권이 전시되어 있다. 1999년 단양 우(禹)씨 소유인 낙동서원 일대와 달서구 공원인 월곡공원을 묶어서 달서구청과 민간단체(단양 우씨 종중)가 협력한 제3섹터 방식으로 2002. 5. 12. 개관하였다.

장소

대구수목원은 아름다운 꽃과 나무, 숲이 어우러져 가 는 곳마다 사진 찍기 좋은 곳이다. 246,503㎡의 큰 규모를 자랑하는 대구수목원에는 목 본류 450종, 초본류 1,300종 등 총 1,750종 350,000 본의 식물을 전시하고 있다(2012년 기준). 약초원, 활 엽수원, 침엽수원, 야생초화원, 화목원, 방향식물원, 괴석원, 죽림원 등 20여 곳의 주제별 공간으로 조성 했다. 특히 선인장 온실은 관람객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곳이다. 200여 종의 선인장과 다육식물이 어우 러진 선인장 온실에서는 이국적인 정취가 물씬 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식물의 종자, 꽃, 열매 등 각 부위를 관찰하 고 체험할 수 있는 ‘산림문화전시관’, 목재문화체험 관, 수목원 숲길, 잔디광장 등의 다채로운 체험도 할 수 있다. 매년 숲놀이, 힐링체험, 국화전시회, 문학기 행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대구수목원은 도 심에서 가까운 도시형 수목원으로 관찰, 견학, 학습탐

유물

단양우씨 월배지역 입향조인 우전禹奠의 6세손 통훈대부행정의현감通訓大夫行旌義縣監 우여도禹汝度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1869년에 건립하였으며, 경도재景陶齋 우성규禹成圭가 상량문을 지었다. 그 뒤 월곡공원을 조성할 무렵인 1979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다. 200여 평 대지 위에 정침이 방 3칸, 대청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와즙으로 화강석 축대 위에 세웠다. 내부에 이건기移建記와 상량문上樑文, 추모재학규 追慕齋學規가 있다. 추모재한거십영追慕齋閑居十詠 1점과 추모재연당운追慕齋蓮堂韻을 빌려서 지은 시 1점이 걸려 있다. 그 외에도 통훈대부와 정의현감으로 임명한다는 교지를 복사하여 걸어둔 액자와 ‘충신忠信’이란 유훈과 ‘숭조경종친척돈목근검성실인보상조崇祖敬宗親戚敦睦勤儉誠實隣保相助’란 글귀를 적은 액자 3점이 실내에 걸려 있다. 주련에 보면 역사정소귀주임천力辭廷召歸住林泉 조정의 부름을 힘써 사양하고 고향산천으로 돌아와 머무셨네. 명고덕전성조상련名高德全星照相連 명성은 높

장소

월곡역사박물관에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운 월곡 우배선 선생과 관련된 보물 제1334호인 화원 우배선 의병군공책(花園 禹拜善 義兵軍功冊) 및 관련자료 4종 15점 34건 외에 역대 선조들의 교지(敎旨)등 400여점과 고서적 7천여권이 전시되어 있다. 1999년 단양 우(禹)씨 소유인 낙동서원 일대와 달서구 공원인 월곡공원을 묶어서 달서구청과 민간단체(단양 우씨 종중)가 협력한 제3섹터 방식으로 2002. 5. 12. 개관하였다.